티스토리 뷰
TDD란?
- Test Driven Development
- 테스트 주도 개발 : 테스트가 개발을 이끌어 나간다.
- 반복 테스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
- 테스트를 먼저 만들고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코드를 짜는 방식
TDD의 절차
- 테스트 케이스 작성
-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최소한의 코드 작성
- 테스트 확인
-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면 2,3번 다시 수행, 통과했다면 1번부터 다시 수행 (새로운 테스트 추가)
- 모든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하는 코드 작성 후 리팩토링
TDD의 장점
- 코드를 안정적이게 개발할 수 있다.
- 깔끔한 코드를 얻을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.
- 프로그램의 품질을 높이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.
TDD의 단점
- 테스트 케이스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개발 시간이 늘어난다.
- 기존의 개발 방식과 다른 익숙하지 않은 방식이기 때문에 적응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.
Junit이란?
- Junit이란 Java의 단위 테스팅 도구이다.
- 단위 테스트 Framework중 하나이다.
- Maven, Gradle을 통해 dependency를 추가한 후 사용 가능
JUnit assert관련 메서드
JUnit Annotation
- @Test : 해당 메소드가 Test대상 메소드임을 의미
- @BeforeClass : 해당 테스트가 시작 전에 딱 한 번씩만 수행되도록 지정
- @AfterClass : 해당 테스트가 끝나고 딱 한 번씩만 수행되도록 지정
- @Before : 해당 테스트가 진행이 시작되기 전에 작업할 내용을 호출
- @After : 해당 테스트가 진행이 끝난 후에 작업할 내용을 호출
- @Ignore : TestCase를 무시
참고자료
'면접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록시 서버에 대해 (0) | 2019.09.18 |
---|---|
Ajax에 대해 (0) | 2019.09.14 |
TCP와 UDP에 대해 (0) | 2019.09.11 |
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(0) | 2019.09.10 |
싱클톤 패턴에 대해 (0) | 2019.09.09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github
- 람다식
- git
- 스프링부트
- 객체
- stateless
- 스프링
- 인텔리제이
- 전자정부프레임워크
- AJAX
- 스프링 부트 시큐리티
- 메서드 참조
- http
- 유효성검사
- 그래프 순회 알고리즘
- 제네릭 메서드
- 가상 회선 방식
- 웹 서버
- 싱글톤 레지스트리
- jvm
- 멀티 프로세스
- JVM 메모리 구조
- 회원가입
- 리버스 프록시
- Servlet
- 클래스
- 포워드 프록시
- 자바의 정석
- 상속
- connectionles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