싱글톤 패턴이란? 해당 클래스의 객체를 하나만 생성 하도록 하며, 생성된 객체를 어디에서든지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어떤 클래스가 최초 한번만 메모리를 할당하고(Static) 그 메모리에 인스턴스를 만들어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. 인스턴스를 불필요하게 생성하지 않고 오직 JVM 내에서 한 개의 인스턴스만 생성하여 재사용을 위해 사용되는 디자인패턴이다. 싱글톤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 고정된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도록 단 한번 new 연산자로 인스턴스를 얻어오기 때문에 메모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. 전역변수로 선언되고 전역메서드로 호출 하기 때문에 다른 클래스에서 사용하기 쉽다. 인스턴스가 절대적으로 한개만 존재하는 것을 보장하고 싶을 경우 사용한다. 두 번째 이용시부터는 로딩 시..
스프링이란? 자바엔터프라이즈 개발을 편하게 해주는 오픈소스 경량급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스프링의 주요 특징 POJO 기반의 구성 의존성 주입(DI)을 통한 객체 간의 관계 구성 AOP(Aspect-Oriented-Programming) 지원 편리한 MVC 구조 WAS의 종속적이지 않은 개발 환경 POJO 기반의 구성 POJO란 (Plain Old Java Object) ? POJO는 말 그대로 해석을 하면 오래된 방식의 간단한 자바오브젝트라는 말로서 Java EE 등의 중량프레임워크 들을 사용하게 되면서 해당 프레임워크에 종속된 "무거운" 객체를 만들게 된 것에 반발해서 사용되게 된 용어이다. 즉, 일반적인 자바 코드를 이용해서 객체를 구성하는 방식을 그대로 스프링에서 사용할 수 있다. 코드를 개발할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자바의 정석
- AJAX
- 포워드 프록시
- 람다식
- 웹 서버
- 회원가입
- 제네릭 메서드
- Servlet
- JVM 메모리 구조
- 스프링부트
- connectionless
- 가상 회선 방식
- 싱글톤 레지스트리
- jvm
- 메서드 참조
- github
- 상속
- 객체
- 스프링
- 멀티 프로세스
- http
- stateless
- 인텔리제이
- 스프링 부트 시큐리티
- 클래스
- 리버스 프록시
- 그래프 순회 알고리즘
- 전자정부프레임워크
- git
- 유효성검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